대사성 알칼리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사성 알칼리증은 혈액의 pH가 증가하여 알칼리성을 띠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소변의 염소 이온 농도에 따라 염소 반응성과 염소 저항성으로 구분되며, 구토, 이뇨제 사용, 고알도스테론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이상 감각, 근육 경련, 부정맥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폐와 콩팥의 보상 기전이 작용한다. 치료는 근본 원인을 교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염소 반응성 알칼리증의 경우 염소 성분이 풍부한 정맥 주사액 투여를 시도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사성 알칼리증 | |
---|---|
일반 정보 | |
질병 분야 | 내분비학, 신장학 |
진료과 | 신장내과 |
영어 이름 | Metabolic Alkalosis |
![]() | |
임상 정보 | |
증상 | (정보 없음) |
합병증 | (정보 없음) |
발병 시기 | (정보 없음) |
지속 기간 | (정보 없음) |
유형 | (정보 없음) |
원인 및 위험 요소 | |
원인 | (정보 없음) |
위험 요소 | (정보 없음)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정보 없음) |
감별 진단 | (정보 없음) |
예방 및 치료 | |
예방 | (정보 없음) |
치료 | (정보 없음) |
약물 | (정보 없음) |
예후 및 빈도 | |
예후 | (정보 없음) |
빈도 | (정보 없음) |
사망 | (정보 없음) |
2. 원인
대사성 알칼리증의 원인은 소변의 염소 이온 농도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11][1]
원인 | 설명 |
---|---|
염소 반응성 (소변 염소 농도 < 25 mEq/L) | 구토, 선천성 염화물 설사, 수축 알칼리증, 이뇨제 치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염소 저항성 (소변 염소 농도 > 40 mEq/L) | 중탄산염 정체, 수소 이온의 세포 내 이동, 고알도스테론증, 글리시리진 과다 소비, 저마그네슘혈증, 심각한 고칼슘혈증, 바터 증후군, 지텔만 증후군, 리들 증후군, 11β-하이드록실레이스 결핍, 17α-하이드록실레이스 결핍,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독성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염화물 규정이 안되는 알칼리증 | 우유 알칼리 증후군, 혈액 제제 투여, 알부민과 인산염 감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2. 1. 염소 반응성 (소변 염소 농도 < 25 mEq/L)
- '''구토''' - 위 내용물과 함께 염산(수소 이온과 염소 이온의 결합)이 소실된다. 병원에서는 코위관 삽입 시 흔히 발생한다.[12] 심각한 구토는 저칼륨혈증(칼륨 이온 소실)이나 저나트륨혈증(나트륨 이온 소실)을 일으킨다. 콩팥은 집합관의 주세포에서 수소 이온을 사용하여 소실된 나트륨과 칼륨을 보상하며, 나트륨-칼륨 펌프는 칼륨을 더 많이 잃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소 이온이 사용되며 대사성 알칼리증을 유발한다.[12]
- '''선천성 염화물 설사''' - 산증 대신 알칼리증을 일으키는 드문 형태의 설사이다.[13]
- '''수축 알칼리증''' - 탈수 상황 등에서 세포외공간에서 물이 소실되어 발생한다. 세포외액의 용적이 감소하면 레닌-안지오텐신계를 활성화시키며, 알도스테론은 콩팥의 네프론에서 나트륨의 재흡수를 유발하여 물도 함께 재흡수되도록 만든다. 그러나 알도스테론의 이차적인 작용은 수소 이온은 배설시키고 중탄산염을 보존하는 것이므로, 수소 이온 손실로 인해 pH가 올라간다.
- '''이뇨제 치료''' - 고리 이뇨제와 티아지드 등의 이뇨제는 체액을 소실시켜 수축 알칼리증을 일으킬 수 있다. 운동선수들이나[14] 섭식장애 환자들 사이에서 이뇨제를 남용하는 경우[15] 대사성 알칼리증이 발생할 수 있다.
2. 2. 염소 저항성 (소변 염소 농도 > 40 mEq/L)
- '''중탄산염의 정체''' – 중탄산염이 몸에 많이 남으면 알칼리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수소 이온이 세포 안으로 이동''' – 저칼륨혈증에서 관찰된다. 세포 바깥의 칼륨 농도가 낮아지면 칼륨이 세포 바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전기적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소 이온이 세포 안으로 이동하여 혈액의 pH를 높인다.
- '''고알도스테론증''' – 알도스테론 농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콘 증후군 등) 콩팥에서 나트륨-수소 역수송체 활성이 높아져 소변으로 수소 이온이 많이 소실된다. 이로 인해 나트륨 이온은 몸에 쌓이고 수소 이온은 세뇨관으로 펌프질된다. 이후 콩팥은 소변으로 나트륨과 염소를 배설한다.[19]
- '''글리시리진 과다 소비'''
- 저마그네슘혈증
- 심각한 고칼슘혈증
- '''바터 증후군'''과 '''지텔만 증후군'''
- '''리들 증후군''' – 상피 세포 나트륨 통로(ENaC)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고혈압과 저알도스테론증이 나타난다.
- '''11β-하이드록실레이스 결핍'''과 '''17α-하이드록실레이스 결핍''' – 둘 모두 고혈압을 나타낸다.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독성으로 인해 네프론의 굵은 오름부분에 위치한 칼슘 감지 수용체가 활성화되고, NKCC2 공동수송체가 비활성화되며 바터 증후군과 유사한 저칼륨혈증과 대사성 알칼리증을 나타낸다.
2. 3. 염화물 규정이 안되는 알칼리증
- 우유 알칼리 증후군 - 칼슘과 흡수성 알칼리를 과다하게 섭취하여 고칼슘혈증, 대사성 알칼리증, 신부전의 세 가지 특징이 나타나는 질환이다.[17]
- 혈액 제제 투여 - 혈액 제제에는 시트르산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고 이 물질이 대사되면 중탄산 나트륨이 된다. 일반적으로 8 units보다 많은 양의 투여가 이루어졌을 때 알칼리증이 발생한다.[16][6]
- 알부민과 인산염 감소[18][7]
3. 증상과 징후
경증의 대사성 알칼리증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중등도에서 중증의 대사성 알칼리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는 이상 감각, 신경근 흥분, 테타니, 부정맥(대부분 저칼륨혈증 등의 전해질 이상으로 인해 발생), 혼수, 발작, 섬망 등이 있다.[1]
4. 보상 기전
대사성 알칼리증의 보상은 주로 폐에서 이루어지며, 호흡을 느리게 하거나 환기저하(호흡보상)를 통해 이산화 탄소를 덜 내보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산화탄소는 탄산을 형성하여 pH를 감소시킨다.[20]
콩팥보상은 호흡보상보다 덜 효율적이다. 콩팥보상은 중탄산염의 여과 부하가 세뇨관의 재흡수 능력을 넘게 되면서 중탄산염 배설이 증가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0]
대사성 알칼리증 환경에서 예상되는 이산화탄소 분압(pCO2) 값은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20]
5. 치료
대사성 알칼리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려면 근본 원인을 교정해야 한다.[1] 위장관액 손실(예: 구토)로 인한 염소 반응성 대사성 알칼리증이 의심되는 경우, 염소 성분이 풍부한 정맥 주사액 투여를 시도해 볼 수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Alkalosis, Metabolic: eMedicine Pediatrics: Cardiac Disease and Critical Care Medicine
http://emedicine.med[...]
2009-05-10
[2]
서적
Arterial Blood Gases Made Easy
https://www.amazon.c[...]
Churchill Livingstone
2007-09-18
[3]
논문
Congenital Chloride Diarrhea: Accurate Prenatal Diagnosis Using Color Doppler Sonography to Show the Passage of Diarrhea
[4]
논문
The abuse of diuretics as performance-enhancing drugs and masking agents in sport doping: pharmacology, toxicology and analysis: Diuretics in sport doping
2010-09
[5]
논문
Abuse and clinical value of diuretics in eating disorders therapeutic applications
2011-04
[6]
논문
Cystic fibrosis presenting with hypokalemia and metabolic alkalosis in a previously healthy adolescent
1997-02-01
[7]
서적
Miller's Anesthesia
[8]
서적
CURRENT Medical Diagnosis & Treatment 2011
http://www.accessmed[...]
[9]
서적
Handbook of Blood Gas/Acid-Base Interpretation
Springer London
[10]
논문
Metabolic Alkalosis
https://jasn.asnjour[...]
2000-02-01
[11]
웹사이트
Alkalosis, Metabolic: eMedicine Pediatrics: Cardiac Disease and Critical Care Medicine
http://emedicine.med[...]
2009-05-10
[12]
서적
Arterial Blood Gases Made Easy
https://www.amazon.c[...]
Churchill Livingstone
2007-09-18
[13]
논문
Congenital Chloride Diarrhea: Accurate Prenatal Diagnosis Using Color Doppler Sonography to Show the Passage of Diarrhea
[14]
논문
The abuse of diuretics as performance-enhancing drugs and masking agents in sport doping: pharmacology, toxicology and analysis: Diuretics in sport doping
2010-09
[15]
논문
Abuse and clinical value of diuretics in eating disorders therapeutic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2011-04
[16]
논문
Cystic fibrosis presenting with hypokalemia and metabolic alkalosis in a previously healthy adolescent
1997-02-01
[17]
논문
Milk-alkali syndrome secondary to the intake of calcium supplements.
https://www.e-jyms.o[...]
2016-06-30
[18]
서적
Miller's Anesthesia
[19]
서적
CURRENT Medical Diagnosis & Treatment 2011
http://www.accessmed[...]
[20]
서적
Handbook of Blood Gas/Acid-Base Interpretation
Springer Lond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